왼쪽 위 어금니에 통증이 있으시다면서, 2023년 6월 80대 Kㅁㅁ 님께서 내원해주셨습니다.

처음 내원시 파노라마 사진입니다.
왼쪽 위 제2 대구치(노란 화살표) 뒷 쪽으로 충치(보라색 화살표)가 심하게 보이며, 씹을 때 많이 아파하셨습니다.

왼쪽 위 제2 대구치 사진입니다. 치아에 금이 간 부분(녹색 화살표)도 있으며,
뒷쪽으로는 충치(노란 화살표)가 잇몸 밑으로 연결이 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환자분께서는 많이 불편하다고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을 하신다고 해서, 발치를 도와드렸습니다.

왼쪽 위 제2 대구치(노란 화살표)를 발치 후 뼈이식을 도와드렸습니다.
오른쪽 위, 아래쪽에는 대구치가 2개씩(보라색 화살표) 있으나, 왼쪽 위는 제1 대구치(녹색 화살표)가 있지만
환자분께서는 제2 대구치(노란 화살표) 위치에 임플란트 식립을 미루기를 원하셨습니다.
큰 어금니가 씹는 힘이 세기 때문에, 대구치가 2개씩은 있는 것이 좋으므로 임플란트 식립을 말씀드렸으나,
불편하지 않다면서 미루기를 원하셨습니다.

1년 반 후 왼쪽 위 제1 대구치(녹색 화살표)가 아프시다면서 다시 내원해주셨습니다.
왼쪽 아래 제2 소구치(빨간 화살표)는 크라운 밑으로 충치가 있으며, 크라운이 많이 흔들리고 불편해하셨습니다.

왼쪽 위 제1 대구치(녹색 화살표)가 crack으로 씹을때마다 아파하셨습니다.
대구치가 2개씩 있어야 씹는 힘이 분산이 되는데, 왼쪽 위는 제2 대구치(노란 화살표)를 발치해서 치아가 1개만 있으므로
제1 대구치에 과도한 씹는힘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게 됩니다.
게다가 왼쪽 위 제1 대구치(녹색 화살표)는 신경치료를 한 치아이므로, 통증을 잘 못 느끼므로
치아가 버틸 수 있는 힘보다 더 세게 씹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왼쪽 위 제1 대구치(녹색 화살표)는 발치를 하고, 제2 대구치 위치(노란 화살표)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며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였습니다.
원래 잇몸뼈 위치는 파란 화살표 위치인데,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여 보라색 화살표 위치까지
잇몸뼈가 생성될 수 있도록 치료를 진행하였습니다.
왼쪽 아래 제2 대구치(빨간 화살표) 위치도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원하셔서, 임플란트를 식립해 드렸습니다.
통증 없이 식사를 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서 치료를 도와드리겠습니다. :)
※ 치아가 탈락하게되면, 인접한 치아는 탈락한 치아 쪽으로 쓰러지게 됩니다.
그리고 원래 반대쪽의 씹히던 위치의 치아는, 치아가 탈락하게 되면 씹히는 치아가 없게 되므로
솟구쳐 올라오는 정출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리고 치아가 탈락한 상태로 방치하게 되면, 남은 치아들에 과도한 씹는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주변 치아들이 파절되거나, 보철들이 탈락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치아가 충치나 사고로 인해 탈락하게되면, 보철이나 임플란트 등으로 치아가 빠진 곳을 수복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