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사례

본문바로가기

지축바른치과의원지축바른치과의원

카카오톡 상담 바로가기 블로그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치아가 나오는 경로가 이상해서, 제대로 못 나오면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세부내용

[지****과]

치아가 나오는 경로가 이상해서, 제대로 못 나오면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치아가 나오는 경로가 이상해서, 제대로 못 나오면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예전에 유치 송곳니가 일찍 빠져서, 공간유지장치를 하고 있는데
작은 어금니가 나오는 방향이 이상하다고, 교정치과에 가서 상담을 받아보라고 들으셨다며
2023년 2월 10대 Oㅁㅁ 님께서 부모님과 함께  치아가 바르게 나올수 있도록 교정상담을 받으러 내원하셨습니다.

 

1. 초진 PAN_s.jpg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해보았습니다.
위쪽 제1 소구치가 아직 맹출이 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왼쪽 제1 소구치(노란 화살표)는 치아가 나오는 방향이
좋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2. 초진 상악 교합면_s.JPG

 

처음 왔을때 위쪽 씹는 면 사진입니다.
작은 어금니 부위에 밴드&루프 장치(녹색 화살표)를 통해서 영구치가 나올때까지 공간을 유지해주는 장치인데, 
영구치가 맹출되는 방향이 좋지 않아서, 치아교정과  맹출경로를 개선시켜주는 버튼 수술을 병행하는 치료법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환자분과 어머니께서 동의해주셔서, 제 1 소구치가 나올 수 있도록 공간을 먼저 개선시켜주는 치아교정을 먼저 시행하기로 하였습니다.

 

3. 치료 4개월_s.jpg

 

치료를 시작한지 4개월 된 모습입니다. 왼쪽 제1 소구치(노란 화살표)에 치아가 나올 방향을 유도해주기 위하여 작은 button을 부착하고, 
원래 나와야할 위치로 유도해주는 교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4. 치료 6개월 파노_s.jpg

 

치료한지 6개월된 모습입니다.  처음과 비교시 작은 어금니(노란 화살표)가 나오는 방향이 많이 개선이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5. 치료 6개월 상악 교합면.jpg

 

치료 6개월된 위쪽 씹는 면 사진입니다.  잇몸 밑에 있어서 보이지 않던 작은 어금니가 
이제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노란 화살표)로 잘 나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6. 치료 1년 파노.jpg

 

치료를 시작한지 1년된 파노라마 사진입니다. 오른쪽 위 작은 어금니(녹색 화살표)도 잘 맹출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왼쪽 위 작은 어금니(노란 화살표) 역시 정상적인 방향으로 잘 나온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7. 치료 1년 ceph_s.jpg

 

옆모습 얼굴사진 입니다.  입술이 조금 나와보이는거 같다고, 입술을 넣는 교정을 원하셔서 입술을 넣는 교정을 진행하기로 말씀드렸습니다.
발치교정과 비발치교정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드렸고, 발치교정을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8. 치료 1년_s.JPG

 

위쪽 씹는면 사진입니다.  어금니가 원래 나와야할 위치로 잘 나온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9. 치료 2년 pan_s.jpg

 

치료를 시작한지 2년된 사진입니다. 위쪽 치아사이 공간도 거의 닫히고 있으며, 아래쪽 역시 치아 사이 공간이 거의 닫히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10. 치료 2년 셉_s.jpg

 

1년간 소구치 발치공간이 닫히면서, 약간 나와있던 입술이 조금씩 들어간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제 약간의 치아 사이 공간만 닫으면 되어서, 어렵지 않게 교정을 마무리 해드릴 수 있을거 같습니다.


※ 치아가 나오는 위치가 이상할경우  적절한 치료를 하지않고 방치하게되면,  인접한 치아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접한 치아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손상이 심할경우 치아를 빼야만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구치 교환시기에는  눈으로 볼때는 문제가 없어보이더라도, 잇몸뼈 안에서는 치아가 나오는 위치가 좋지 않을수도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파노라마 엑스레이를 촬영하여 영구치가 나오는 방향에는 문제가 없는지  정기적으로 점검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문제가 발생한 이후에 개선을 하려면  치료가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이미 치아에 비가역적인 손상이 일어날 경우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을경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고,  원하는 치료결과를 얻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첨부파일 | 1. 초진 PAN_s.jpg
첨부파일 | 9. 치료 2년 pan_s.jpg
댓글입력